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백준
- DirectX11
- Programmers
- UnrealEngine5
- 오블완
- IFileDialog
- RootMotion
- 티스토리챌린지
- C++
- 언리얼엔진5
- C
- RVO
- 프로그래머스
- NRVO
- softeer
- winapi
- UE5
- 2294
- 줄 세우기
- Unreal Engine5
- 팰린드롬 만들기
- Frustum
- 1563
- GeeksForGeeks
- UnrealEngine4
- algorithm
- const
- directx
- baekjoon
- DeferredRendering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722)
Game Develop
https://www.acmicpc.net/problem/5525 5525번: IOIOI N+1개의 I와 N개의 O로 이루어져 있으면, I와 O이 교대로 나오는 문자열을 PN이라고 한다. P1 IOI P2 IOIOI P3 IOIOIOI PN IOIOI...OI (O가 N개) I와 O로만 이루어진 문자열 S와 정수 N이 주어졌을 때, S안에 PN이 몇 www.acmicpc.net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int main() { ios::sync_with_stdio(false); cin.tie(0); cout.tie(0); int n = 0; int m = 0; string in..
https://www.acmicpc.net/problem/2579 2579번: 계단 오르기 계단 오르기 게임은 계단 아래 시작점부터 계단 꼭대기에 위치한 도착점까지 가는 게임이다. 과 같이 각각의 계단에는 일정한 점수가 쓰여 있는데 계단을 밟으면 그 계단에 쓰여 있는 점 www.acmicpc.net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int main() { ios::sync_with_stdio(false); cin.tie(0); cout.tie(0); int n = 0; int input = 0; vector v; int dp[301] = { 0 }; cin >> n; for (int i =..
https://www.acmicpc.net/problem/9375 9375번: 패션왕 신해빈 첫 번째 테스트 케이스는 headgear에 해당하는 의상이 hat, turban이며 eyewear에 해당하는 의상이 sunglasses이므로 (hat), (turban), (sunglasses), (hat,sunglasses), (turban,sunglasses)로 총 5가지 이다. www.acmicpc.net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int main() { ios::sync_with_stdio(false); cin.tie(0); cou..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beZSm/btrRCW6SMC0/8zkDG3GjonPBG2WYHUghbk/img.png)
미리 충분한 크기의 메모리를 확보하지 않은 vector같은 경우, capacity이상의 원소를 push 하려 할 경우, 재할당을 통해 capacity를 늘린다. (push든, insert든) v는 8개의 원소로 초기화되었기 때문에 초기 capacity값은 8이다. 그 상태에서 추가로 원소를 push한다면 메모리가 부족하기 때문에 더 큰 크기의 메모리로 재할당을 해줘야한다. 보통 1.5배 크기로 재할당 되며, 그렇기때문에 위 코드에서 푸쉬 후의 capacity는 8 * 1.5인 12가 재할당되었다. 메모리재할당은 런타임도중에 자주 일어나면 안되는 행위중 하나이다. 이렇게 메모리재할당이 많아진다면 메모리단편화도 많이 발생할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만약 해당 vector에서 최대로 사용할 원소의 개수를 미리 ..
https://www.acmicpc.net/problem/1931 1931번: 회의실 배정 (1,4), (5,7), (8,11), (12,14) 를 이용할 수 있다. www.acmicpc.net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struct Node { int start; int end; }; bool cmp(const Node& a, const Node& b) { if (a.end == b.end) return a.start n; for (int i = 0; i > a >> b; v.push_back({ a,..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Ko3oZ/btrRBLwsHAs/hfLng8D24lOlZpNK469dW1/img.png)
Text 세그먼트(혹은 Code 세그먼트)는 일반적으로 변하지 않는 영역이고, 변하지 않아야하는 영역이다. 그래서 ReadOnly 영역이며, 그렇기 때문에 리터럴값들이 여기에 저장될 수도 있는듯 하다. 위 이미지에선 리터럴값이 rodata(.rdata)에 저장되어진다고 나와있는데, 숱한 구글링을 통해 지식들을 취합해본 결과, 컴파일러에 따라 rodata 세그먼트일 수도 있고, Text세그먼트일 수도 있다고 한다. Data 세그먼트(.data)는 보통 초기화된 전역변수나 정적변수가 들어있다고 한다. 거기서 좀 더 쪼개자면, '초기화된 읽기전용 영역'과 '초기화된 읽기-쓰기 영역'으로 나눌 수 있다. 아래 두 변수가 전역이라는 가정하에 // 전역변수 const char* cp = "maxlevel"; //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erKoH2/btrRyKl449C/ccvhRuc5unzoauslhI78QK/img.png)
const char* cc = "maxlevel"; 위의 코드에서 "maxlevel"은 DataSegment의 rodata 영역에 저장된다. 아마 read only의 줄임말로 ro라 한것같다. 다만, 저런 리터럴값들이 DataSegment에 저장할 수도 있고, TEXT Segment (CodeSegment)에 저장될 수도 있다고 한다. 컴파일러마다 차이가 있다고 하니, 명심하자. 구글링하면 어떤 글은 Data Segment에 저장된다고 하고 어떤 글은 Text Segment에 저장된다고 나와있기 때문에 헷갈릴 수 있다. 일단 Data Segment라고 가정하겠다. 어쨌든 문자열리터럴은 readOnly영역에 있기 때문에, cc[0] = 's' 이런식으로 값수정은 불가능하다. 그래서 char*에 문자열을 담..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dPbDEO/btrRyU2T3Le/wVt5dYKn011d4B1SwTpvL1/img.png)
알다시피 문자열의 끝은 반드시 \0이 있어야한다. 그렇기 때문에 어떠한 문자열을 저장하는 char 배열을 선언할 경우, 반드시 문자의 개수보다 1개 더 크게 잡아야한다. maxlevel 은 8글자이지만, 배열의 크기는 최소 9로 잡아줘야한다. char cArray[9] = "maxlevel"; 문자개수와 똑같은 크기인 8로 선언할 경우, 컴파일에러가 발생한다. 컴파일시점에서 반드시 문자열의 끝에는 \n이 있어야한다고 보장해줘야한다는 의미이다. 만약, maxlevel이라는 문자열의 앞 3글자 max를 low로 바꿔서 최종적으로 lowlevel이라는 문자열을 만드는게 목적이라면, 아래와 같이해야한다. char a1[9] = "maxlevel"; char a2[] = "low"; memcpy(a1, a2, 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