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2294
- 줄 세우기
- DirectX11
- 언리얼엔진5
- softeer
- RVO
- 1563
- algorithm
- UE5
- IFileDialog
- 팰린드롬 만들기
- C
- C++
- NRVO
- baekjoon
- RootMotion
- Programmers
- Unreal Engine5
- directx
- GeeksForGeeks
- winapi
- UnrealEngine5
- DeferredRendering
- 백준
- UnrealEngine4
- 티스토리챌린지
- 프로그래머스
- const
- Frustum
- 오블완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722)
Game Develop
https://hyo-ue4study.tistory.com/272 [언리얼엔진] 가비지 컬렉션이란 ? (언리얼엔진에서의 메모리 관리) 프로그래밍을 하다 보면 동적으로 할당해준 메모리에 대한 관리를 계속해서 해줘야 한다. 우리의 컴퓨터는 일정한 메모리를 갖고 있고, 정해진 메모리를 초과하게 되면 동작하는 프로그램이 정 hyo-ue4study.tistory.com https://othereum.github.io/ue4/ue4gc/ [UE4] 가비지 컬렉션에 관한 유의사항 언리얼 엔진은 보면 볼수록 참 대단하다는 생각이 든다. 그중에서도 가장 대단하다고 생각되는 것은 리플렉션 시스템과 가비지 컬렉터다. 오늘은 가비지 컬렉터에 대한 나의 삽질기를 얘기해볼 othereum.github.io
https://hyo-ue4study.tistory.com/182 [언리얼엔진] 리플렉션 (aka. 프로퍼티 시스템) 언리얼엔진하면은 다룬다고 하면 알아야할 몇가지들이 있다. 그 중에서 언리얼엔진에서 베이스가 되는 프로퍼티 시스템인 리플렉션 이 있다. 리플렉션이라는 것은 자바나 C#등에선 지원하지만, hyo-ue4study.tistory.com
https://www.acmicpc.net/problem/18870 18870번: 좌표 압축 수직선 위에 N개의 좌표 X1, X2, ..., XN이 있다. 이 좌표에 좌표 압축을 적용하려고 한다. Xi를 좌표 압축한 결과 X'i의 값은 Xi > Xj를 만족하는 서로 다른 좌표의 개수와 같아야 한다. X1, X2, ..., XN에 좌 www.acmicpc.net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map m; int arr[1000001] = { 0 }; int main() { ios::sync_with_stdio(false); cin.tie(0); cout.t..
https://www.acmicpc.net/problem/11047 11047번: 동전 0 첫째 줄에 N과 K가 주어진다. (1 ≤ N ≤ 10, 1 ≤ K ≤ 100,000,000)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 동전의 가치 Ai가 오름차순으로 주어진다. (1 ≤ Ai ≤ 1,000,000, A1 = 1, i ≥ 2인 경우에 Ai는 Ai-1의 배수) www.acmicpc.net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int main() { ios::sync_with_stdio(false); cin.tie(0); cout.tie(0); int n = 0; int inp..
https://www.acmicpc.net/problem/9461 9461번: 파도반 수열 오른쪽 그림과 같이 삼각형이 나선 모양으로 놓여져 있다. 첫 삼각형은 정삼각형으로 변의 길이는 1이다. 그 다음에는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정삼각형을 계속 추가한다. 나선에서 가장 긴 변의 www.acmicpc.net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vector results; long long p[101] = { 0 }; int maxNum = 6; void solve(int n) { int result =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dWwWLe/btrSm2j7ZsA/pvYu1OEXe7wgFDw7uezsp0/img.png)
특정 클래스에서 크기가 큰 멤버변수를 Get하고 싶을 때, 위 코드처럼 참조자를 활용하는것도 고려할 방법 중 하나이다. A클래스가 정말 크기가 큰 데이터라 가정했을 때, 참조자말고 그냥 리턴시키면 값복사하는데 꽤나 비용이 들 것이다. 하지만 저렇게 참조자로 하면 복사할 필요 없으니 굿... 다만 const 키워드를 꼭 붙이도록 하자. 참조자를 리턴시키기 때문에 캡슐화가 깨질 수 있기 때문이다. 해당 참조자로 밖에서 임의로 값을 변경하는걸 막아야 한다. 위 코드는 그냥 예시용 코드긴 한데, A클래스의 print에 const가 붙어있는 이유는, GetA()는 결국 const 객체의 참조자를 리턴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const객체는 const 멤버함수만 호출할 수 있기 때문에, print함수에 const키워..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ECuQL/btrSlkeYGYC/AdR1A4TgXhGplk4I9DBy0K/img.png)
main함수에서의 Test클래스의 GetName함수는 에러가 안나는데, foo함수에서의 GetName은 위와같은 에러가 뜬다. 그 이유는 main함수에서의 t라는 Test객체는 const 객체가 아니고, foo함수에서의 레퍼런스로 받은 t는 const 객체이기 때문이다. const객체는 내부 값의 변경이 불가능하다. 그렇기 때문에 해당 객체가 하는 모든행위는 기본적으로 객체의 값이 변경이 되지 않는다는 '보장'을 받아야 한다. 그 보장을 받기위한 방법 중 하나가, 멤버함수의 선언 끝에 const키워드를 붙이는 것이다. 멤버함수의 뒤에 const키워드가 붙는다면, 해당 멤버함수내에서는 멤버변수에 값을 write하는 행위는 할 수 없다. 그렇기 때문에 foo함수에서의 GetName은 위와 같은 에러를 뱉는 ..
https://www.acmicpc.net/problem/6064 6064번: 카잉 달력 입력 데이터는 표준 입력을 사용한다. 입력은 T개의 테스트 데이터로 구성된다. 입력의 첫 번째 줄에는 입력 데이터의 수를 나타내는 정수 T가 주어진다. 각 테스트 데이터는 한 줄로 구성된다. www.acmicpc.net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vector results; int gcd(int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