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UnrealEngine4
- 언리얼엔진5
- DeferredRendering
- 2294
- RVO
- Frustum
- NRVO
- 팰린드롬 만들기
- algorithm
- 1563
- 프로그래머스
- DirectX11
- UnrealEngine5
- Programmers
- softeer
- RootMotion
- UE5
- 백준
- directx
- 티스토리챌린지
- IFileDialog
- Unreal Engine5
- 줄 세우기
- baekjoon
- const
- C++
- C
- 오블완
- GeeksForGeeks
- winapi
- Today
- Total
Game Develop
[Algorithm]Baekjoon 2143번 : 두 배열의 합 본문
https://www.acmicpc.net/problem/2143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
using namespace std;
int t, n, m;
long long answer = 0;
int arrN[1001] = { 0 };
int arrM[1001] = { 0 };
map<int, int> check;
int main()
{
ios::sync_with_stdio(false);
cin.tie(NULL);
cout.tie(NULL);
cin >> t;
cin >> n;
for (int i = 0; i < n; ++i)
{
cin >> arrN[i];
}
for (int i = 0; i < n; ++i)
{
int sum = 0;
for (int j = i; j < n; ++j)
{
sum += arrN[j];
++check[sum];
}
}
cin >> m;
for (int i = 0; i < m; ++i)
{
cin >> arrM[i];
}
for (int i = 0; i < m; ++i)
{
int sum = 0;
for (int j = i; j < m; ++j)
{
sum += arrM[j];
answer += check[t - sum];
}
}
cout << answer;
}
|
cs |
두 수열 A,B에 대해 각각 부분수열의 합을 모두 구한 후, 타겟T를 만들 수 있는 쌍의 개수를 구하는 문제이다.
일단은 단순하게 풀었다. 부분수열합의 경우의 수를 모두 구해서 map에다가 카운팅을 했다. (특정수가 몇개나왔는지 map에다가 기록해놨다는 말.)
물론, '가능하면' map같은거말고 그냥 배열에다가 하는게 속도가 월등히 빠르다. 하지만 이 문제같은경우는 최대숫자가 10억까지 나오기 때문에 메모리제한에 걸릴 뿐더러, 음수도 존재하기 때문이다.
물론 절대값이 작다면 음수여도 offset값을 더해서 양수로 매핑하면 되긴한다. 일종의 테크닉인데, 최근에 관련해서 푼 문제가 있다. (Meet in the Middle문제)
어쨌든 A수열의 가짓수들을 맵에다가 기록 후, B의 가짓수들을 구할 때마다 t - B의 가짓수값이 vA의 부분수열합에 존재한다면, 그만큼 answer에 누적시켰다.
제출은 통과됐지만 400대ms가 나왔다. map을 통한 접근이 시간이 꽤 걸린다는 것이다.
참고로 그냥 map(바이너리)은 400대ms가 나왔고, 해쉬맵인 unordered_map은 200대ms가 나왔다.
이후 좀 더 빠른 속도를 위해 다른사람의 풀이를 보고 다시 코드를 작성해봤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
using namespace std;
int t, n, m;
int arrA[1001] = { 0 };
int arrB[1001] = { 0 };
int main()
{
ios::sync_with_stdio(false);
cin.tie(0);
cout.tie(0);
cin >> t;
cin >> n;
for (int i = 0; i < n; ++i)
{
cin >> arrA[i];
}
vector<int> vA;
for (int i = 0; i < n; ++i)
{
int sum = 0;
for (int j = i; j < n; ++j)
{
sum += arrA[j];
vA.push_back(sum);
}
}
sort(vA.begin(), vA.end());
cin >> m;
for (int i = 0; i < m; ++i)
{
cin >> arrB[i];
}
vector<int> vB;
for (int i = 0; i < m; ++i)
{
int sum = 0;
for (int j = i; j < m; ++j)
{
sum += arrB[j];
vB.push_back(sum);
}
}
sort(vB.begin(), vB.end());
long long answer = 0;
for (int i = 0; i < vA.size(); ++i)
{
int targetNum = t - vA[i];
int targetNumCount = upper_bound(vB.begin(), vB.end(), targetNum) - lower_bound(vB.begin(), vB.end(), targetNum);
answer += targetNumCount;
}
cout << answer;
}
|
cs |
맨 처음코드는 특정수가 몇개나왔는지 먼저 카운팅했던 것과 달리, 이 코드는 일단 중복된 숫자여도 모두 구해서 벡터에 저장해놓는다. vA에는 수열A의 부분수열의 합들이 들어있고 vB에는 수열B의 부분수열의 합들이 들어있다.
만약 타겟숫자인 T가 5라면, vA의 원소 하나가 1일 때 vB에서 T-vA[i], 즉 5 - 1인 '4의 개수'를 vB에서 찾아주는 것이다.
여기서 '특정숫자'의 '개수'를 효율적으로 찾는것이 관건이다.
단순히 N번반복해서 찾을 수도 있겠지만, 당연히 효율적이지 못하다. 여기서 왜 효율적이지 못하냐? 더 효율적인 방법이 존재하기 때문에 그렇다.
결론적으로 upper_bound와 lower_bound를 통해 구할 수 있다.
upper_bound는 특정숫자를 초과하는 숫자의 인덱스를 반환하고, lower_bound는 특정숫자의 '이상'인 숫자의 인덱스를 반환하다.
그렇기 때문에 upper_bound의 결과값 iterator에서 lower_bound 결과값 iterator를 빼면 '특정숫자의 개수'를 구할 수 있다.
단, upper_bound와 lower_bound는 사용전에 해당 컨테이너가 반드시 정렬이 되어있어야 한다.
시간복잡도는 각각 logN이고 vA의 크기만큼하기 때문에 vA의 크기 * 2(lower한번, upper한번) * logN 이 된다.
그래서 위 코드를 제출했을 때 대략 90ms대가 나왔다. 기존에 unordered_map으로 카운팅했을 때, 200ms가 나왔던거에 비하면 시간효율이 굉장히 좋아졌다.
그리고 사실, 위 코드에 보면 upper,lower_bound를 수행하는 vB말고 vA도 정렬시킨걸 확인할 수 있는데, 사실 로직상 vA는 정렬 안시켜도 된다. 위 로직은 어차피 vA원소 하나씩 접근해서 수행하니까.
근데 놀랍게도.. vA를 정렬시킨 위의 코드는 90ms대가 나오고, 정렬 안시키고 제출하면 120ms대가 나온다.
단순 생각해보면, N logN의 시간복잡도를 가진 sort를 수행안한 vB가 더 적게 나와야하는게 맞을텐데 말이다.
일단 당장의 뇌피셜론, 캐쉬의 지역성때문인가? 하는 생각이 든다.
정렬시켜놓으면 같은 숫자가 연속되니, lower_bound와 upper_bound의 값들이 캐쉬에 저장되어져있다가 바로 꺼내서 쓰니 더 빠른게 아닌가.. 싶다.
그리고 거의 유사한개념으로, 사실 좀 더 최적화 여지가 있다. 애초에 vA도 정렬시켜놓으면 같은숫자가 연속되니까 그냥 특정숫자가 몇개나 연속되는지 체크 후, 곱연산 해버리면 된다.
위의 코드정도로도 코테에서 시간초과로 떨어질일은 절대없을거같긴한데, 얼마나 더 최적화될지 궁금해서 코드로 작성해봤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
using namespace std;
int t, n, m;
int arrA[1001] = { 0 };
int arrB[1001] = { 0 };
int main()
{
ios::sync_with_stdio(false);
cin.tie(0);
cout.tie(0);
cin >> t;
cin >> n;
for (int i = 0; i < n; ++i)
{
cin >> arrA[i];
}
vector<int> vA;
for (int i = 0; i < n; ++i)
{
int sum = 0;
for (int j = i; j < n; ++j)
{
sum += arrA[j];
vA.push_back(sum);
}
}
sort(vA.begin(), vA.end());
cin >> m;
for (int i = 0; i < m; ++i)
{
cin >> arrB[i];
}
vector<int> vB;
for (int i = 0; i < m; ++i)
{
int sum = 0;
for (int j = i; j < m; ++j)
{
sum += arrB[j];
vB.push_back(sum);
}
}
sort(vB.begin(), vB.end());
long long answer = 0;
int index = 0;
while (index < vA.size())
{
int num = vA[index];
int targetNum = t - vA[index];
int targetNumCount = upper_bound(vB.begin(), vB.end(), targetNum) - lower_bound(vB.begin(), vB.end(), targetNum);
int count = 1;
++index;
while (index < vA.size() && vA[index] == num)
{
++index;
++count;
}
answer += (long long)count * targetNumCount;
}
cout << answer;
}
|
cs |
위 코드는 88ms로, 바로 직전코드가 92ms가 나왔던것을 감안하면 사실 거의 차이는 없다.
참고로, 출력시킬 정수형 변수의 데이터타입은 int로 하면 안된다.
수열A의 부분집합개수 * 수열B의 부분집합개수 => int의 범위를 벗어날만큼 많기 때문이다.
'Algorithm > Baekjo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Algorithm]Baekjoon 17387번 : 선분 교차 2 (0) | 2024.02.11 |
---|---|
[Algorithm]Baekjoon 17386번 : 선분 교차 1 (1) | 2024.02.10 |
[Algorithm]Baekjoon 1766번 : 문제집 (0) | 2024.02.03 |
[Algorithm]Baekjoon 1647 :: 도시 분할 계획 (1) | 2024.01.31 |
[Algorithm]Baekjoon 1644 :: 소수의 연속합 (1) | 2024.0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