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gorithm/Baekjoon
[Algorithm]Baekjoon 1937번 :: 욕심쟁이 판다
MaxLevel
2023. 11. 14. 03:46
https://www.acmicpc.net/problem/1937
1937번: 욕심쟁이 판다
n × n의 크기의 대나무 숲이 있다. 욕심쟁이 판다는 어떤 지역에서 대나무를 먹기 시작한다. 그리고 그 곳의 대나무를 다 먹어 치우면 상, 하, 좌, 우 중 한 곳으로 이동을 한다. 그리고 또 그곳에
www.acmicpc.net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
int n;
int arr[501][501] = { 0 };
int dp[501][501] = { 0 };
int dirs[4][2] = { {-1,0}, {1,0}, {0,-1}, {0,1} };
int DFS(int y, int x)
{
if (dp[y][x] != 0) return dp[y][x];
int& maxCount = dp[y][x];
for (int i = 0; i < 4; ++i)
{
int nextY = y + dirs[i][0];
int nextX = x + dirs[i][1];
if (nextY < 0 || nextY == n) continue;
if (nextX < 0 || nextX == n) continue;
if (arr[nextY][nextX] <= arr[y][x]) continue;
maxCount = max(maxCount, DFS(nextY, nextX) + 1);
}
return dp[y][x];
}
int main()
{
ios::sync_with_stdio(false);
cin.tie(NULL);
cout.tie(NULL);
cin >> n;
for (int i = 0; i < n; ++i)
{
for (int j = 0; j < n; ++j)
{
cin >> arr[i][j];
}
}
int answer = 0;
for (int i = 0; i < n; ++i)
{
for (int j = 0; j < n; ++j)
{
dp[i][j] = DFS(i, j);
answer = max(answer, dp[i][j]);
}
}
cout << answer + 1;
}
|
cs |
천천히지만 숙련도가 좀 쌓인탓인가, 굉장히 쉽게 풀었다.
생각보다 정답비율이 낮아서 놀라기도 했다.
뻗어나가는 조건은 반드시 다음좌표의 값이 더 커야한다는 것이다.
그런데 사실 매 좌표에서 뻗어나갈 수 있는건 정해져있기 때문에, 매 좌표에서의 dfs는 한번만 수행하면 되지 절대 중복해서 할 필요가 없다.
그래서 매좌표마다의 dfs 수행시, 해당 좌표에서 최대로 뻗어나갈 수 있는값을 dp테이블에 저장하고, 나중에 다른곳에서 뻗어나온 루트가 특정 좌표에 도달했을 때 이미 이전에 뻗어나간 전적이 있으면 그냥 그 값을 그대로 사용하면 된다.